
경기국제공항 건설 사업이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난항을 겪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해 11월 8일 ‘경기국제공항 건설을 위한 비전 및 추진 방안 수립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하며, 화성시 화성호 간척지, 평택시 서탄면, 이천시 모가면을 후보지로 선정했다. 그러나 유력 후보지로 거론된 화성시에서 강하게 반발하며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화성시는 공항 건설 추진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며 절차상의 문제를 지적했다. 또한, 공항 건설이 지역사회에 미칠 환경적·경제적 영향을 면밀히 검토한 후 대응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특히 화성시 화옹지구는 철새 개체 수가 제주항공 참사가 발생한 무안공항보다 두 배 많아 항공기 안전사고 위험이 크게 높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화옹지구 역시 철새 도래지로서 비슷한 위험성이 존재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또한, 경기국제공항 사업이 수원군공항 이전과 연계될 것이라는 점도 논란의 대상이다.
수원군공항은 고도 제한과 소음 문제로 인해 수원시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으며, 경기국제공항 건설을 통해 군 공항 이전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공항 건설에 필요한 막대한 예산을 충당하기 위해 수원군공항 부지 매각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한편, 화성특례시의회 ‘수원 군 공항 화성시 이전 반대 특별위원회’는 지역 주민들과의 간담회, 전문가 초청 토론회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실질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해당 특별위원회는 김영수·정흥범 공동위원장을 비롯해, 김경희, 김상균, 김상수, 김종복, 배정수, 송선영, 이계철, 이용운, 이은진, 전성균, 조오순, 차순임 의원 총 14명으로 구성됐으며, 2026년 6월까지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국민신보 나병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