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신보 박래철 기자 |
인천시 지역사회 자립 장애인 22명을 분석한 결과 ‘사적 돌봄 부재’와 ‘양육부담’이 거주 시설 입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최근 인천시와 인천시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 의뢰로 진행한 ‘인천시 주거전환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과정 및 지원방안 연구’ 최종보고회를 열었다고 17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인천시가 지난 2018년 세운 ‘1차 탈시설 및 지역사회통합 5개년 계획(2019~2023)’에 따라 지역사회로 자립한 장애인 58명 중 22명을 심층 조사한 결과를 분석했다. 지역사회 자립 과정을 4가지로 유형화하고 현재 만족도를 조사했다. 연구 기간은 6월~12월이다.
연구에 참여한 장애인은 20~60대이고 모두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다. 고등학교 졸업 이상은 16명으로 72.7%였고 결혼 상태는 21명(95.5%)가 미혼이다. 남성은 14명 여성은 8명이다. 14명(63.6%)은 직업이 있다.
연구는 먼저 지역사회로 정착 과정을 4가지로 유형화했다. A유형은 무연고로 사적 돌봄이 없는 상태로, 원가정에서 보육원 등을 거쳐 장애인 거주 시설, 독립 주거로 이어진 형태다. 무연고이기에 보육원에서 장애 판정을 받았다.
20대 ㄱ씨는 부모가 어릴 적 사망해 단기아동보호센터에서 지내다 12세에 거주 시설로 들어갔다. ㄱ씨는 “중학교 때인가 체험홈에 들어가서 같이 장보고 요리하고 같이 활동하면서 살다 보니 나가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며 “체험홈에서 단기자립생활주택으로 들어가니 도움을 10 중에서 2 정도만 주고 나머지는 알아서 했다. 마침 매입임대주택을 얻을 기회가 생겨 나왔다”고 말했다.
B유형은 부나, 모가 있지만 건강 악화,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원가정에서 보육원 등을 거쳐 거주 시설, 독립 주거로 이어진 형태다. 특히 이미 장애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거나 장애 판정을 받은 상태에서 원가정이 돌봄에 부담을 느껴 거주 시설로 갔다는 점에서도 A유형과 차이가 있다.
30대 지적장애인 ㄴ씨는 IMF 외환위기로 가족이 와해되고 17세에 보육원에 입소했다. 이후 거주 시설을 거쳐 체험홈, 자립홈, 자기임대주책, 단기자립생활주택, 독립으로 이어졌다. 조사 대상자 중 가장 많은 주거 전환을 보였다. ㄴ씨는 “자립하기 전 경험해보려고 체험홈에 들어갔다. 거기서 금전관리, 장보기 등을 익혔다”며 “시설 선생님들이 관리해주지만 벗어나고 싶다는 생각이 있어 독립을 생각했다. 지금도 잘 모르는 일은 팀장님께 전화한다. 어머니와 같은 분이다”고 말했다.
C유형은 가족의 권유와 의뢰로 거주 시설에 입소하고 가족과 계속 연락하고 지낸다는 특징이 있다. 마지막 D유형은 가족에 기억이 없고 어린 나이부터 보육시설에서 지내다 거주 시설, 독립 주거로 이어지는 형태다. D유형은 거주 시설의 권유 없이 스스로 독립 주거를 원해서 나왔다는 특징을 보인다.
연구는 원가정에서 거주 시설로 주거를 전환하는 요인으로 부모의 이혼, 사망, 질환, 방임 등 ‘사적 돌봄 부재’와 ‘양육 부담’을 꼽았다. 거주 시설에서 독립 주거로 이동한 이유로는 거주 시설이 운영하는 자립지원 정책과 프로그램, 장애인 당사자의 의지가 결합한 결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는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지원 정책을 제안했다.
연구를 맡은 이웅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주거는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의 핵심으로 앞으로는 계속 거주(aging in place) 방식으로 관련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연구 결과를 보면 지역사회로 주거를 전환한 장애인 대부분이 인천시 초기정착금으로 주거를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는 사실은 고무적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