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1년 설립된 춘천 캠프페이지가 도시재생 혁신 지구로 선정되며 K-콘텐츠의 성지로 거듭납니다.
철조망으로 둘러싸인 56만㎡ 부지는 장진호 전투 영웅인 존 U.D. 페이지 대령의 이름을 딴 부대로 반세기 넘게 군사 요새 역할을 했습니다.
2005년 미군이 완전히 철수하자 시민들은 담장 넘어 땅을 되찾았다며 "이제야 춘천이 완성됐다"라고 환호했습니다. 그러나 기쁨도 잠시, 민간 개발과 보존 논쟁이 교차하며 땅은 20년간 잠들어 있었습니다.
정체된 부지를 움직인 건 다름 아닌 시민들이었습니다. 2013년 반환 미군기지 개방 행사 때는 시민 500여 명이 함께 벽을 허물어 금단의 땅을 공개했습니다. 옛 캠프페이지 부지에는 봄내체육관, 꿈자람 어린이공원이 들어서 시민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습니다.
2019년 결성된 시민 포럼은 공공성과 생태, 문화를 우선으로 하는 재생안을 제시했고, 이런 시민의 움직임은 행정의 인식도 바꾸었습니다. 그리고 2025년 9월, 도시재생 혁신 지구로 최종 선정되면서 춘천은 마침내 도시의 심장을 다시 뛰게 할 첫걸음을 내딛게 되었습니다.
춘천시는 강원대와 VFX 전공을 신설하고, 영상 제작사를 유치해 청년 일자리를 만들어 도심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계획입니다. 마침내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캠프페이지, 도시재생이 그려낼 새로운 춘천의 모습을 함께 상상해 보면 어떨까요.
[ 국민신보 기자 ]











